서두에 앞서 아래의 글은 사실을 바탕으로 필자 개인의 견해가 추가되었음을 미리 밝힙니다.
암호화폐의 공통적인 목표는 첫째는 상용화이며 더 나아가 궁극적으로 지향하는 바는 기축통화의 대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이러한 암호화폐의 가능성을 보고 투자하는 사람들의 대부분이 시세차익을 노리기 위해 투자하였다는 것은 아이러니하기만 하다.
암호화폐의 제도권 도입의 딜레마인 다크코인의 문제 역시 어떤 식으로 해결될 지 아무도 알 수 없는 일이다. 앞서 말했던 글과 같이 대시 (DASH), 코모도 (KMD), 모네로 (XMR), 그리고 지캐시 (ZEC)와 같은 다크코인들은 사생활을 보호한다는 프라이버시적 측면에서 필수적인 기능을 갖고 있는 동시에 탈세와 같은 범죄에도 악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대중들의 선택에 의해 반 강제적으로 암호화폐의 상용화가 시작된다면 현재 달러의 기축화를 유지하고 있는 미국은 어떻게 대응할지, 위안화를 기축통화로 사용하고자 했지만 실패하고 금관련 상품에 투자하던 중국은 어떠한 행보를 보일지 주목해야 할 것이다. 이에 제 2의 기축통화 확보를 발판으로 세계 금융시장에서의 영향력을 확대 할 기회를 노리는 세계 여러 나라들과 굴지의 기업들 또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사실 일본과 같은 나라는 아직도 현금의 사용률이 굉장히 높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자금의 순환은 이미 사실상 반가상화 되었다고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와 같은 때에 블록체인 기술을 바탕으로하여 복제나 자연재해 등의 위험등으로부터 안전한 암호화폐가 기존의 법정화폐를 대체하는 것은 더이상 놀라운 일이 아닐지도 모른다.
물물교환에서 처음 화폐가 생겼을 때, 처음으로 은행에 계좌가 찍힐 때, 모두가 믿을 수 없다고 외쳤지만 결국은 실용화된 것과 같이 가상화폐 역시 10~20년 후에는 엄청난 파급력을 일으키며 제도권으로 단계적인 수순을 밟으며 편입되고 결국에는 우리 생활속에 자연스레 스며들 것이라 감히 예상해본다.
'BUSINESS' 카테고리의 다른 글
[KMD] 코모도 코인 홀더- 민트플린트 코인 에어드랍?? (MintFlint Airdrop), 관련없는 코인이라는데 메인 디벨로퍼가 어드바이서로?? (0) | 2020.03.08 |
---|---|
휴대폰 호갱을 당하다. 휴대폰 반품하기. 개통철회 하기. (0) | 2019.10.21 |
한국의 무당개구리, 세계를 강타하다! (0) | 2019.10.13 |
가상화폐란? (+모 방송에서의 유시민씨의 질문에 대한 비판) (0) | 2019.10.11 |
마블가재 - 독자적으로 증식하다! 클론 생성! 복제 가재! (0) | 2019.10.06 |